[출근길 인터뷰] 연일 최고가 경신…치솟는 기름값 원인과 대책은?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요즘 차 타고 다니기 무섭단 말이 나올 정도로 자고 나면 기름값이 오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휘발유 가격은 10년 만에 가장 비싸고, 경윳값도 연일 최고치를 갈아치우고 있는데요.<br /><br /> 오늘은 조상범 대한석유협회 대외협력실장을 만나 유가 상승 배경과 앞으로의 전망에 대해 알아봅니다.<br /><br />에 나가 있는 박서휘 캐스터 나와주시죠.<br /><br />[캐스터]<br /><br />출근길 인터뷰입니다. 오늘은 대한석유협회 조성범 실장과 만나 얘기 나눠보겠습니다.<br /><br />[조상범 / 대한석유협회 대외협력실장]<br /><br />안녕하세요. 대한석유협회 조상범입니다.<br /><br />[캐스터]<br /><br />전국 휘발유 가격이 역대 최고치를 찍었습니다. 경유값 역시 연일 최고를 기록하고 있는데요. 도대체 왜 이렇게 기름값이 오른 건가요?<br /><br />[조상범 / 대한석유협회 대외협력실장]<br /><br />말씀하신 것처럼 국내 휘발유 가격은 지난 주말 이미 10년 2개월 만에 사상 최고치를 돌파했고요. 경유 가격 역시 연일 최고치를 돌파하고 있는 상황입니다. 그런데 이 같은 상황은 비단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 세계 최대 석유 산유국가이자 지금 미국에서도 지금 동일하게 발생하고 있는 그런 상황인데요. 이 같은 요인이 발생하고 있는 가장 큰 원인은 바로 국제유가 상승 때문에 그런데 최근에 살펴보면 코로나 이전에는 전 세계에서 하루 쓰는 석유 소비량이 대략 한 하루 1억 배럴 정도 됐습니다.<br /><br />그런데 지난해 또 지지난해부터 코로나가 시작되면서 이것이 8450만 배럴까지 급감했는데 지난해부터는 글로벌 석유 국가들에서 방역 제한조치를 완화하고 또 그동안 움츠러들었던 생산이 증가하게 되면서 석유 수요가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는 상황입니다. 그런데 반면에 최근에 석유공급은 그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 상황인데요.<br /><br />특히 그동안 2~3년 동안 그 탄소중립 진행이 되면서 석유 메이저들에서는 석유생산을 위한 투자가 제때 진행이 되지 않았었고 또 글로벌 석유 소비에 맞춰서 증가하지 못한 상황에서 사우디를 비롯한 OPEC+ 국가에서도 증산이 여의치 않고 진행이 이 같은 요인을 반영해서 현재 수요는 증가하는데 공급은 그에 따라가지 못하는 상황이 지속되면서 우리나라 가격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고 또 최근에는 지난 3월부터 러시아 우크라이나 사태가 터지면서 공급이 제한돼서 러시아에 대한 석유생산이 여의치 않게 된데다가 또 6월부터는 미국에서 시작된 드라이빙 수요로 인해서 석유 소비가 증가하고 있습니다. 따라서 이 같은 요인으로 유가가 계속 상승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[캐스터]<br /><br />정부의 유류세 인하 조치에도 상승세가 꺾이지 않는 배경은 어떻게 되나요?<br /><br />[조상범 / 대한석유협회 대외협력실장]<br /><br />앞서 말씀하신 것처럼 국제유가 상승이 가장 큰 요인으로 볼 수가 있는데요. 지난해부터 시작된 두 차례의 유류세 조치로 인해서 휘발유 같은 경우에는 리터당 247원이 인하가 됐고요. 경유는 174원이 인하가 됐습니다마는 안타깝게도 국제유가 상승 폭은 이보다 훨씬 더 크게 상승했습니다. 같은 기간 국제 휘발유 가격은 리터당 440원이 올랐고요. 경유는 훨씬 더 많은 640원 올랐습니다.<br /><br />따라서 유류세 인하 폭을 국제유가 상승 폭이 상쇄를 하면서 지금 계속 유가가 올라가고 있는 것으로 보이고 다만 우리나라 휘발유, 경유 가격은 OECD 평균과 비교해 보면 대략 80% 수준에서 낮은 가격을 유지하고 있고요. 이 같은 가장 요인은 국내 정유사들의 우수한 정제능력으로 인해서 안정적으로 공급을 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[캐스터]<br /><br />원유 수입 관세 인하 등 추가적인 대책에 대해서도 목소리가 나오는데요. 이거에 대해서는 혹시 어떻게 생각하십니까?<br /><br />[조상범 / 대한석유협회 대외협력실장]<br /><br />어저께부터 유류세 인하 폭이 올해 말까지로 연장이 됨에 따라서 세금 상승으로 인한 그런 리스크는 해소됐다는 면에서는 다행이라고 보고 있는데 다만 아직까지 원유 수입 시 부과되는 관세가 남아 있는 상황입니다. 특히 우리나라는 OECD 비산유국 중에서 유일하게 원유에 대한 관세를 부과하고 있는 그런 나라인데요. 만약 원유에 대한 3% 관세를 0%나 혹은 1%로 줄여주게 된다면 지금 휘발유, 경유, LPG 사용자만 받고 있는 유류세 혜택을 전 국민이 똑같이 누릴 수 있을 것으로 보이고요. 특히 등유라든지 항공유 또 벙커C유와 같은 모든 제품에 대한 가격이 인하됨에 따라서 국민적인 포상 효과도 증가하고 산업경쟁력도 늘어날 것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[캐스터]<br /><br />오늘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.<br /><br />[조상범 / 대한석유협회 대외협력실장]<br /><br />감사합니다.<br /><br />[캐스터]<br /><br />지금까지 출근길 인터뷰였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